마르크스2 [공개적 작업중] 한나 아렌트, <칼 맑스와 서구정치사상의 전통> 제1초고 ; 1 of 4 * 한나 아렌트, 이라는 제목의 이 번역문은 매일 약간씩 진행되며, 그때마다 이미 번역된 부분도 변경될 것이다. * 미의회 도서관에서 사본을 볼 수 있다. 링크는 다음을 참조. https://www.loc.gov/item/mss1105601242/ * 두 개의 초고가 있다. 하나를 First Drafts라고 하고 다른 하나를 Second Drafts라고 한다. * 아래는 First Drafts 중에서 1/4를 번역한 것이다. 이 1은 다음에 활자화되어 있다. Hanna Arendt, “Karl Marx and the tradition of Western political thought”, Social Research, Summer, 2002. 칼 맑스와 정치사상의 전통 (p.1) 1.* 전통의 붕괴된 명.. 2021. 12. 14. 지금, 알튀세르를 펼치다[열다] - 『정황』 2003년 1∙2월호 / 마토바 아키히로, 나카마사 마사키 지금 알튀세르를 열다 今、アルチュセールを開く마토바 아키히로(的場昭弘)・나카마사 마사키(仲正昌樹)『정황』 2003년 1∙2월호 1. 알튀세르 재부상의 의미나카마사 : 알튀세르는 맑스의 사상을 현대적으로 혁신했다는 점으로 오래 전부터 알려져 있습니다만, 데리다가 『맑스의 유령들』을 냈을 무렵부터, 기존의 맑스 연구와는 완전히 다른 맥락에서 7, 8년 전에 갑자기 재부상하게 됐습니다. 데리다를 축으로 하는 포스트모던의 문맥에서 맑스가 ‘다시’ 인기를 끌게 됐는데요, 그 열쇠가 되는 것은 아무래도 알튀세르라고 말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데리다는 「정치와 우정」에서 자신의 탈구축적인 사상의 근원이 알튀세르에 있다고 말했으며, 알튀세르와 자신의 관계를 강조하고 있습니다. 또한 데리다 이외의 현대사상가들도 반드시 어.. 2017. 3. 16. 이전 1 다음